티스토리 뷰

01) build.gradle

 

 

02) application.properties

 

 

spring.datasource

 

- datasourcce는 MySQL 설정과 관련됨

 

spring.jpa.data.database_platform

 

- JPA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을 지정함.

- 여기서는 MySQL InnoDB를 사용하도록 설정.

 

spring.jpa.open-in-view

 

- OSIV(Open Session In View)는 웹 요청이 완료될 때까지 동일한 EntityManager를 갖도록 해줌.

- 스프링부트에서 OSIV가 기본값으로 true인데 성능과 확장성 면에서 안좋다고해 false로 설정을 끔.

 

spring.jpa.show-sql

 

- 콘솔에 JPA 실행 쿼리를 출력.

 

spring.jpa.hibernate.format_sql

 

- 콘솔에 출력되는 JPA 실행 쿼리를 가독성있게 표현함.

 

spring.jpa.hibernate.ddl_auto

 

- 데이터베이스 초기화 전략을 설정함.

  > none : 아무것도 실행 안함.

  > create : SessionFactory가 시작될 때 기존테이블을 삭제 후 다시 생성함.

  > create-drop : create와 같으나 SessionFactory가 종료될 때 drop을 실행함.

  > update : 변경된 스키마만 반영함.

  > validate : 엔티티와 테이블이 정상적으로 매핑되었는지만 확인함.

 

logging.level.org.hibernate.type.descriptor.sql

 

- SQL에서 물음표로 표기된 부분(bind parameter)을 로그로 출력해서 확인할 수 있음.

 

이 외에도 다양한 설정이있음.

 

ex) spring.jpa.hibernate.naming : 엔티티와 테이블에 대한 네이밍 전략

     spring.jpa.hibernate.use-new-id-generator-mappings : auto increment에 대한 설정

 

애노테이션으로 해결 가능한 것들은 애노테이션을 통해 처리도 가능함.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