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Javascript/Vue

02. Vue - router

akatjd 2022. 9. 25. 14:02

1. router > index.js

const routes = [
  {
    path: '/',
    name: 'home',
    component: HomeView
  },
  {
    path: '/about',
    name: 'about',
    // route level code-splitting
    // this generates a separate chunk (about.[hash].js) for this route
    // which is lazy-loaded when the route is visited.
    component: () => import(/* webpackChunkName: "about" */ '../views/AboutView.vue')
  }
]

 - routes name은 동일값 가지면 안됨. 

 - component 설정

   > 위 import로 컴포넌트하면 컴파일시 app.js로 들어감.

   > webpackCunkName에 지정한 값으로 컴파일시 js 파일 이름이 됨. (network 확인시 어떤 js 파일이름으로 불러오는지 보면 됨.)

   > /* webpackChunkName: "about", webpackPrefetch:true */ 하면 네트워크에서 size 부분이 prefetch cache로 바뀜.

      당장 쓸 리소스는 아니고 근래에 쓸거 같은 리소스는 cache에 저장해두는 형식. (사용자 입장에서 더 빠르게 느낌)

      false 하면 하단 link 테그가 없어지고 누른 순간에 js 파일을 서버에서 받아옴.

 

2. .prettierrc 파일 생성, package.json 설정

{
    "semi" : false,
    "bracketSpacing" : true,
    "singleQuote" : true,
    "useTabs" : false,
    "trailingComma" : "none",
    "printWidth" : 80
}

 - 해당 부분에서 lint 설정함.

 - 스탠다드 설정은 function () 이런식으로 한칸을 띄어줘야 함. 해당 규칙을 off 시킴.

'Javascript > V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Vue - Login 구현 (+ Spring security)  (0) 2022.09.28
04. Vue - Axios  (0) 2022.09.26
03. Vue - 기초 정리  (0) 2022.09.25
01. Vue 3 - create package 설정  (1) 2022.09.25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