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wget (world wid web get)
윈도우에서 웹사이트 검색을 하여 압축파일을 다운로드하는 형태와 비슷함.
ex) #> wget 주소
.xz 압축파일로 해당 주소 압축파일이 받아지고 해당 압축파일을 풀고 아카이브를 풀어주면 설치가 됨.
2. RPM (Redhat Package Manager)
윈도우 계열에서 setup.exe 파일과 비슷하게 자동으로 설치해주는 프로그램임.
RPM 패키지는 컴파일되어 설치한 실행파일, 설정 파일, 라이브러리 등을 하나로 묶어놓은 파일을 말함.
리눅스 자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인터넷 접속 없이 패키지로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해주는 명령어임.
RPM 명령어는 의존성에 문제가 많으며, 3을 실행하려면 1,2가 있어야 하는데 둘 중 하나만 없어도 오류가 뜨고 3이 하나가 더 있어도 오류가 뜨는 불편함이 있다.
설치
ex) #> rpm -ivh [rpm_path]
-i 설치
-v 상세 정보
-h #(해시) 로딩 바
업데이트
ex) #> rpm -Uvh [rpm_path]
-U 업데이트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설치가 됨.
설치 유무 확인
ex) #> rpm -qa | grep [name]
삭제
ex) rpm -e [rpm_name]
3. YUM (Yellodog Updater Modified)
RPM 기반의 시스템에서 업데이트 기능을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play 스토어 역할과 비슷)
RPM과 다르게 인터넷 사용이 필수임. (의존성 문제도 해결되어 1패키지를 설치하기 전 필요한 2패키지까지 한 번에 설치가 가능하다.)
설치
ex) #> yum install [option] [name] [name ...]
-y : 모든 물음에 yes로 대답한다.
옵션은 install 전에 쓰든 뒤에 쓰든 상관없다.
업데이트
ex) #> yum update -y [name]
삭제
ex) #> yum erase [name]
그룹 패키지 설치
ex) #> yum group list
#> yum group install -y [group_name]